
책 구매 바로가기
『디퍼 러닝』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교육자 20여 명의 입을 통해 지난 30년간 교사, 학교, 교육지원청, 주정부 전체가 ‘디퍼 러닝’이라는 변화의 물결에 자발적으로 동참하여 이루어 낸 미국의 수업 혁신 및 교육 혁신 과정을 담고 있다.
학습 혁신 방법과 학교 혁신 사례는 학습자 중심 교육 환경, 역량 중심 교육과정,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체화, 지식의 전이 등 디퍼 러닝이 제시하는 교육의 변화는 현재 우리 교육이 추구하는 목표와 맞닿아 있으며, 아이들이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키워 주는 것이 교육의 역할임을 다시 한번 깨닫게 한다.
학생 하나하나의 능력을 최대한 끌어올리는
수업 혁명, 디퍼 러닝
현재 전 세계 공교육은 최대의 위기를 맞았다. 변화하지 않으면 안 되는 기로에 서 있는 것이다. 이제 학교교육은 ‘어떻게 하면 시험 성적을 더 향상시킬 수 있을까’에 중점을 두기보다 ‘학생들이 배우고 싶은 것을 어떻게 더 잘 가르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21세기 미래사회는 똑같은 교육을 받은 평균적인 사람보다 맞춤형 교육과 창의적 인재를 요구한다. 교육은 획일화된 모습이 아닌 학생 개개인의 창의력을 끌어내기 위해 우리의 아이들에게 배움에 대한 충분한 선택권이 있는지, 교사에게 수업의 변화를 시도할 수 있는 재량과 자율성이 있는지 근본적인 질문을 던져야 할 때이다.
디퍼 러닝은 배움의 중심에 학생을 두고, 학습자가 원하는 분야를 스스로 더 깊이 있게 학습하여, 지식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와 전이가 가능한 학습 환경의 통칭으로 볼 수 있다. 디퍼 러닝을 경험한 학습자들은 배우는 방법을 배우고, ‘배운다’는 행위 자체의 의미와 재미를 깨닫고 몰입할 수 있게 되며, 그 과정에서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역량을 기르게 된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교육계 석학과 실천가들이
학교 혁명의 핵심 ‘디퍼 러닝’을 파헤치다!
이 책은 미국 공교육 혁신 운동인 디퍼 러닝의 확산을 위해 다양한 교육 주체가 영감을 받고 교육 변화를 이루어 낼 수 있도록 전체 3부로 구성되어 있다. 디퍼 러닝과 21세기 역량이 현재의 교육 시스템에서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분석하고, 디퍼 러닝을 통한 다양한 교육 혁신 사례를 소개한다. 또한 이 책의 저자들은 다음 세대에게 필요한 교육 환경을 만들기 위해 연구하고 실천해 온 교육 혁신가들로, 그들이 쓴 각 장은 서로 연결되어 교육의 지형이 어떻게 미래 지향적으로 진화해 가고 있는지 전체 그림을 볼 수 있게 해 준다.
1부 ‘미래를 살아갈 내 아이를 위한 수업, 디퍼 러닝’에서는 디퍼 러닝은 무엇이며, 디퍼 러닝을 하기 위해 무엇을 갖추어야 하는지 이야기한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 디퍼 러닝을 촉진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교육과정과 평가, 그를 뒷받침하는 데 필요한 교사와 관리자의 역량, 학교 환경을 이야기한다.
2부 ‘세계를 바꾸는 변화의 원동력, 그 시작은 교실 수업’에서는 학교 현장과 각 지역 교육지원청, 정부가 교육과정, 수업 및 평가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습 패러다임의 변화에 어떻게 대처해 나가야 하는지 디퍼 러닝으로 가기 위한 로드맵을 그린다.
3부 ‘21세기 역량 강화를 위한 학교, 교육지원청, 정부의 역할’에서는 21세기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를 위해, 또 디퍼 러닝의 확산을 위해 교육 리더가 해야 할 일을 이야기한다. 먼저 눈에 띄는 교육 성취를 이루어 낸 디퍼 러닝 학교 사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교훈을 살펴본다. 그런 다음, 교육 혁신에 성공하기 위해 정부, 교육지원청, 지역사회가 각각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풍부한 혁신 사례를 들어 이야기한다.
옮긴이와 감수 및 추천인
김하늬 유쓰망고 대표. 국내에 ‘체인지메이커 교육’과 ‘디퍼 러닝’을 처음 소개했다. 모든 청소년이 스스로 배움의 주체가 되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어디든 배움터가 되는 교육 생태계를 조성하는 교육 혁신 단체 ‘유쓰망고’를 설립했다. LA와 서울을 오가면서 미국의 공교육 혁신 사례들을 국내에 소개하며 교육 관련 정책 및 환경 컨설팅을 하고, 교육부 미래교육위원회 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blog.naver.com/youthmango, hkim@youthmango.org)
최선경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 영어 교사이자 고래학교 교장. 교사 성장 학교인 고래학교를 통해 ‘체인지메이커 교육’을 전파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체인지메이커 교육』(공저), 『긍정의 힘으로 교직을 디자인하라』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 『프로젝트 수업 어떻게 할 것인가』(공역), 『선생님의 영혼을 위한 닭고기 수프』(공역) 등이 있다. 또한 원격연수 <EBSe를 활용한 영어 플립러닝>, <프로젝트 수업, 어디까지 해봤니> 등의 강사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blog.naver.com/dntjraka75)
김진숙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미래교육정책본부 본부장. 디지털 전환 시대의 인재 양성 정책 수립을 지원하기 위한 연구와 개발을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학습자 중심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과 학습 경험 기반의 학습 환경 구축 방안 마련에 주력하고 있다.
차 례
추천의 글 • 가르침의 타성에서 벗어나고 싶은 이들과 여러 번 함께 읽고 싶은 책_ 김진숙
여는 글 • 한국의 디퍼 러닝 무브먼트를 향하여_ 김하늬
도입글 • 디퍼 러닝이란 무엇인가
1부 미래를 살아갈 내 아이를 위한 수업, 디퍼 러닝
1장 디퍼 러닝과 전문적 학습공동체
2장 디퍼 러닝을 위한 사고의 전환
3장 창의적인 기업가를 육성하는 교육
4장 PBL과 테크놀로지가 수업을 바꾼다
5장 ‘하이테크하이’ 사례에서 본 교사의 전문성
2부 세계를 바꾸는 변화의 원동력, 그 시작은 교실 수업
6장 교육 혁신을 위한 최악의 시기, 최고의 시기
7장 ‘나파 뉴테크 네트워크’ 사례로 본 디퍼 러닝 로드맵
8장 21세기를 살아갈 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
9장 교육의 공통핵심성취기준과 평가 시스템
3부 21세기 역량 강화를 위한 학교, 교육지원청, 정부의 역할
10장 디퍼 러닝을 위한 새로운 페다고지
11장 ‘마노 뉴테크 고등학교’ 사례로 본 디퍼 러닝의 성과
12장 21세기 학교 리더십
13장 학교 혁신을 위한 교육지원청의 역할
14장 교육 혁신을 가능케 하는 정부의 역할
닫는 글 • 디퍼 러닝 실천가가 본 우리의 교육 현장_ 최선경
책 구매 바로가기
연재글 읽기:
디퍼 러닝 시리즈 (1) - N명의 청소년을 위한 하나의 교육을 찾아서
디퍼 러닝 시리즈 (2) – 선택권으로 깊이 더하기
디퍼 러닝 시리즈 (3) – 조직문화로 깊이 더하기
디퍼 러닝 시리즈 (4) - 연결로 깊이 더하기